환승객 늘수록 손해? 마을버스 조합의 20년 불만 폭발
서울시 마을버스 업계가 또다시 서울시와 갈등을 빚고 있습니다.
지난 9월 22일, 서울시마을버스운송사업조합은 기자회견을 열고 내년 1월 1일부터 대중교통 환승제도에서 공식 탈퇴하겠다고 선언했습니다.
이는 2004년 7월 서울시가 도입한 환승 할인 제도가 시행된 지 20년 만에 터져 나온 업계의 불만이 극단적인 방식으로 표출된 것입니다.
20년간 누적된 손실, 1조 원 넘었다는 업계 주장
마을버스 업계의 주장은 단순합니다. 환승 승객이 늘어날수록 수익은 줄어드는 구조라는 것입니다.
서울시민 대부분이 버스와 지하철, 마을버스를 환승하며 저렴한 요금으로 이동할 수 있었지만, 정작 환승을 제공하는 마을버스 측은 손실이 누적돼왔다는 입장입니다.
조합에 따르면 지난 20년 동안 환승 손실금은 매년 평균 1000억 원, 누적 금액으로는 1조 원을 넘었습니다.
서울시로부터 충분한 보전을 받지 못했고, 적자 구조는 해소되지 않은 채 업계의 부담으로만 남아왔다는 겁니다.
서울시의 대응: 보조금 확대 가능성 언급
서울시는 이번 사태에 대해 "마을버스 업계의 어려움을 인지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보조금 선지급이나 운송원가 인상 같은 대안을 제시하며 협상 가능성을 열어두었습니다.
특히 서울시는 마을버스가 시민들의 생활 교통망을 지탱하는 중요한 축이라는 점을 강조하며, 환승 혜택을 포기하는 것은 시민들의 불편으로 직결된다고 우려했습니다.
하지만 마을버스 조합은 "서울시의 대책은 근본적인 해결책이 아니다"라며 거부 의사를 분명히 했습니다.
시민 불편, 현실화될까?
만약 내년 1월부터 마을버스가 환승제도에서 탈퇴한다면, 서울시민들은 기존에 무료 또는 할인으로 가능했던 환승 혜택을 누리지 못하게 됩니다.
예컨대 지하철에서 내려 마을버스를 타는 경우 추가 요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출퇴근길에서 마을버스를 이용하는 서민층의 경제적 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점에서 시민 불만이 상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환승 제도 탈퇴는 대중교통 정책 전체에도 큰 파장을 미칠 수 있습니다.
2004년 도입된 환승 할인은 서울의 대중교통 시스템을 통합하고 효율성을 높였다는 평가를 받아왔기 때문입니다. 마을버스의 이탈은 이 체제를 흔드는 계기가 될 수 있습니다.
갈등의 본질: 공공성 vs 생존권
이번 사태는 단순한 요금 문제가 아닙니다.
서울시는 대중교통의 공공성을 강조하며 시민 전체의 이익을 우선시합니다.
반면, 마을버스 업계는 지난 20년간의 생존권 문제를 제기합니다.
실제로 적자 누적과 운송 원가 상승, 인건비 부담 등으로 인해 일부 마을버스 업체는 폐업 위기에 몰려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즉, "시민의 편의"와 "업계의 생존"이라는 두 가치가 정면으로 충돌한 상황이라 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의 전망
서울시와 마을버스 업계가 극적으로 합의하지 못한다면 내년 초 시민 불편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과거에도 유사한 갈등이 있었고, 결국 보조금 인상이나 추가 지원책을 통해 봉합된 사례가 많았다는 점에서 극단적인 파국보다는 협상의 여지가 남아있습니다.
결국 관건은 서울시가 얼마나 현실적인 재정 지원책을 마련하느냐, 그리고 마을버스 업계가 이를 수용할 수 있을 만큼 합리적인 방안을 제시하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이번 사태는 대중교통의 공공성과 업계의 지속가능성이라는 두 가지 가치가 충돌할 때 어떤 문제가 발생하는지를 단적으로 보여줍니다.
서울시민들은 편리한 환승 혜택을 당연하게 누려왔지만, 그 이면에서 마을버스 업계의 불만과 적자가 20년간 쌓여왔다는 사실은 크게 알려지지 않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