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ta name="naver-site-verification" content="7f1a9fdc4d173009c1d624a5a3f3d67025235289 google.com, pub-9617598002258632, DIRECT, f08c47fec0942fa0 59㎡는 몇 평일까? 부동산 평수 쉽게 바꾸는 공식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59㎡는 몇 평일까? 부동산 평수 쉽게 바꾸는 공식

by 느린어르니 2025. 7. 18.
반응형

59㎡는 몇 평일까? 부동산 평수 쉽게 바꾸는 공식

 

집을 알아볼 때 가장 많이 듣는 단위가 바로 ‘평’입니다.

하지만 요즘은 대부분의 부동산 매물 정보에 ‘제곱미터(㎡)’ 단위가 먼저 표시되죠. 그래서 59㎡, 84㎡ 같은 숫자를 봐도 이게 얼마나 넓은 공간인지 바로 감이 오지 않아 헷갈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늘은 대표적인 면적 단위인 ‘㎡’를 ‘평’으로 쉽게 바꾸는 방법과 함께, 59㎡가 몇 평인지 구체적으로 알려드릴게요.

1. 평이란 무엇인가요?

‘평(坪)’은 과거 우리나라에서 주로 사용해온 면적 단위입니다. 1평은 정확히 "3.305785㎡"입니다.

부동산에서는 이 값을 이용해 평과 제곱미터를 상호 변환합니다.

◆ 1평 = 약 3.3㎡

◆ 1㎡ = 약 0.3025평

이 정도만 알아두면 대부분의 계산이 가능합니다.

 

2. 59㎡는 몇 평일까?

이제 본격적으로 계산해볼까요?

59㎡ × 0.3025 = 약 17.84평

즉, 59제곱미터는 약 18평 정도입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이 면적이 전용면적이냐, 공급면적이냐에 따라 체감하는 넓이가 달라진다는 사실입니다.

 

3. 전용면적 vs 공급면적

부동산에서 면적을 말할 때 보통 다음 두 가지가 있습니다.

전용면적: 실제로 내가 사용할 수 있는 집 안의 순수한 공간

공급면적: 전용면적 + 복도, 계단 등 공동으로 사용하는 공간까지 포함

예를 들어 전용면적 59㎡ 아파트는 보통 공급면적으로는 74~84㎡ 정도 되며, 실제 사용 가능한 공간은 약 18평, 체감 공간은 22~25평처럼 느껴지기도 합니다.

 

4. 쉽게 바꾸는 공식 정리

부동산 평수 계산을 쉽게 하기 위한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 → 평: 제곱미터 수 × 0.3025

평 → ㎡: 평수 × 3.3058

 

5. 실생활에선 어떻게 적용할까?

집을 알아보거나 이사 계획이 있을 때는 보통 ‘몇 평짜리 집이야?’라는 표현이 더 익숙하죠.

그런데 매물 정보는 거의 다 제곱미터로 표기돼 있어 헷갈릴 수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전용 59㎡라고 하면 ‘17평 정도의 실내 공간’이라고 이해하면 되고, 공급면적으로 보면 24평 아파트 정도의 크기라고 보면 무리가 없습니다.

또한 평형대별로 대표적인 아파트 유형도 있습니다.

59㎡(18평형): 소형 아파트, 신혼부부·1~2인 가구에게 적합

84㎡(25평형): 중형 아파트, 3~4인 가족이 가장 선호

99㎡ 이상: 넓은 공간 선호층, 4인 이상 가족

 

제곱미터와 평의 변환은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59㎡는 약 18평, 그리고 1평은 약 3.3㎡ 라는 기본 개념만 기억해두면 어떤 매물을 보더라도 대략적인 크기를 바로 감 잡을 수 있죠.

이제 집을 알아볼 때 59㎡? 84㎡? 하고 고민하지 말고, 평수로 바로 바꿔서 감각적으로 이해해보세요.

나에게 맞는 집 고르기가 훨씬 쉬워질 거예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