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 최저임금이 확정되었습니다. 내년부터 적용되는 시간당 최저임금은 10,320원으로, 이는 2025년 10,030원보다 290원(2.9%) 오른 금액입니다. 매년 오르는 최저임금에 대해 찬반 의견은 엇갈리지만, 많은 이들에게 중요한 생계의 기준인 만큼 정확히 알아두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6년 최저시급, 월급 계산법, 근로시간 기준, 그리고 실수령액 계산 팁까지 상세히 정리해드립니다.
■ 2026년 최저임금: 얼마인가?
2026년 최저시급: 10,320원
2025년 대비 인상률: 약 2.9%
적용 대상: 정규직, 아르바이트, 계약직 등 고용형태와 무관하게 모든 근로자
■ 최저임금 기준 월급 계산법
최저임금은 시급 기준이지만, 많은 사람들이 월급 기준으로 얼마나 받게 되는지 궁금해합니다.
월급 계산은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가능합니다.
● 월급 계산 공식
시급 × 주당 근로시간 × 4.345주
그러나 고용노동부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기준은 월 209시간입니다.
이는 주 40시간 근무 + 주휴수당 포함한 기준입니다.
● 2026년 최저임금 월급 계산
10,320원 × 209시간 = 2,156,880원
즉, 2026년 월 최저임금은 2,156,880원입니다.
■ 시급제 근로자의 실수령액은 얼마?
실수령액은 단순 월급에서 4대 보험을 뺀 금액입니다.
지역, 나이, 보험 가입 여부에 따라 다르지만 대략적인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실수령액 예시 (4대 보험 공제 기준)
국민연금: 약 103,000원
건강보험+장기요양: 약 83,000원
고용보험: 약 13,000원
총 공제액: 약 199,000원
2,156,880원 - 199,000원 ≒ 약 1,957,880원
즉, 실수령액은 약 195~197만 원 선으로 예상됩니다.
단, 비과세 식대, 교통비 등의 수당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최저임금이 적용되는 근로시간 기준
최저임금은 단순히 ‘일한 시간’만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주휴수당 포함, 연장/야간/휴일근로 시 별도 수당도 반드시 지급되어야 합니다.
정상 근무시간: 주 40시간
주휴수당 포함 총 시간: 209시간/월
주휴수당 요건: 주 15시간 이상 근로 + 개근 시 지급
→ 주 5일 근무 시 하루치 유급휴일 수당 추가
주의사항:
시급 계산 시 주휴수당을 포함하지 않고 계산하는 곳은 ‘최저임금 미준수’입니다.
특히 아르바이트에서 주휴수당 누락 사례가 잦으니, 본인의 근로시간과 지급 내역을 꼭 확인해야 합니다.
■ 최저임금, 나에게 어떤 영향을 줄까?
최저임금은 단지 금액이 아니라, 노동자의 생계 보장 기준선입니다.
비정규직, 프리랜서, 플랫폼 노동자 등도 실질적으로 이 기준을 참고하여 협상하거나 최소 기준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최저임금 인상은 물가 인상, 소상공인 부담, 자영업자 인건비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에 사회적 논의가 중요합니다.
하지만 고용형태와 무관하게 노동의 가치를 보장한다는 취지에서 긍정적인 변화이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