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com, pub-9617598002258632, DIRECT, f08c47fec0942fa0 무한전세갱신권, 현실인가 과장인가?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무한전세갱신권, 현실인가 과장인가?

by 느린어르니 2024. 12. 11.
728x90
반응형

요즘은 출근해서 인터넷으로 뉴스 기사를 읽곤합니다

무한전세갱신권이라는 단어가 눈에 들어옵니다.

 

무한전세갱신권은 대한민국에서 임대차 3법 중 하나로 도입된 계액갱신청구권 제도와 관련된 개념

 

이 법은 세입자가 기존의 임대차 계약을 일정 조건하에 갱신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제도로, 세입자 보호를 목적으로 합니다.

다만, '무한전세갱신권'이라는 용어 자체는 법률 용어는 아니며, 주로 임대인과 세입자 간의 계약 갱신 문제를 논의할 때 비유적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주요 내용

계약갱신청구권:

세입자는 최초 2년 계약 후 한 번 더 2년 계약을 연장할 수 있는 권리가 있습니다.

이로 인해 기본적으로 최대 4년간 동일한 주거지에서 거주가 가능합니다.

 

갱신 횟수 제한:

법적으로 보장된 계약갱신청구권은 1회만 행사할 수 있습니다.

즉, 무한정 갱신이 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무한전세갱신권’이라는 표현은 다소 과장된 측면이 있습니다.

 

임대인의 갱신 거부 사유: 임대인은 아래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갱신을 거부할 수 있습니다.

임대인 또는 직계가족이 해당 주택에 실거주 예정인 경우.

세입자가 계약 조건을 위반한 경우(임대료 연체 등).

계약 갱신 요구 전에 주택을 매도한 경우(특정 조건 하에서).

전월세상한제:

계약 갱신 시 임대료 상승 폭은 5% 이내로 제한됩니다(지자체 별로 세부 규정 적용).

 

'무한전세갱신권' 논란

세입자 관점:

장기적으로 안정된 주거가 보장되기를 원하는 세입자 입장에서 계약갱신청구권은 긍정적입니다.

하지만 갱신 횟수 제한으로 무한히 연장할 수 없다는 점에서 아쉬움을 느낄 수 있습니다.

임대인 관점:

임대료 제한과 갱신 의무로 인해 수익성이 감소한다고 주장하며, 제도에 반대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일부 임대인은 실거주를 이유로 갱신을 거부하고, 실제로는 재임대를 통해 임대료를 올리는 사례가 문제로 지적됩니다.

 

제도에 대한 팁

계약 갱신 전, 임대인과 세입자 간의 명확한 의사소통이 중요합니다.

갱신권 행사 여부와 조건은 서면으로 기록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만약 임대인이 갱신을 부당하게 거부한다면 분쟁조정위원회나 법적 절차를 통해 해결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